김교수의 운동이야기

@professor-kim - 516 本の動画

チャンネル登録者数 4830人

운동생리학, 트레이닝론, 체력측정평가, 영양학, 운동처방 외 체육전공관련 정보 채널

最近の動画

#19 운동단위의 사용과 크기에 따른 근육의 힘 발생 차이(교재 pp24~25) 9:48

#19 운동단위의 사용과 크기에 따른 근육의 힘 발생 차이(교재 pp24~25)

#18 체성운동신경과 운동단위의 개념과 기능(교재 p24) 9:57

#18 체성운동신경과 운동단위의 개념과 기능(교재 p24)

#17 근육수용기 반사궁의 기능과 교차신전반사의 기전(교재 pp 22~23) 8:26

#17 근육수용기 반사궁의 기능과 교차신전반사의 기전(교재 pp 22~23)

#16 근육수용기 중 화학수용기의 기능과 역할(교재 P22) 8:02

#16 근육수용기 중 화학수용기의 기능과 역할(교재 P22)

#15 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 구조와 기능(교재PP 21~22) 10:42

#15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구조와 기능(교재PP 21~22)

#14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 구조와 기능(교재 PP 19~21) 12:55

#14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구조와 기능(교재 PP 19~21)

Q&A 124 최대심박수의 90% 운동강도와 최대심박수와의 관계(가은님 질문) 8:37

Q&A 124 최대심박수의 90% 운동강도와 최대심박수와의 관계(가은님 질문)

#13 신경전달물질(아세틸콜린)의 발견과 신경세포의 자극 신호 축삭전달(교재 PP.16~18) 15:36

#13 신경전달물질(아세틸콜린)의 발견과 신경세포의 자극 신호 축삭전달(교재 PP.16~18)

Q&A 123 혈당스파이크를 잡는 식후 운동시간과 운동전 식사관리가 궁금(배키님 질문) 6:52

Q&A 123 혈당스파이크를 잡는 식후 운동시간과 운동전 식사관리가 궁금(배키님 질문)

#12 신경세포에서 신경자극이 전달되는 방법(교재 P.16) 8:04

#12 신경세포에서 신경자극이 전달되는 방법(교재 P.16)

Q&A 122 혈당스파이크를 올리지 않는 과일섭취 / 간수치 증가원인(배키님 질문) 8:20

Q&A 122 혈당스파이크를 올리지 않는 과일섭취 / 간수치 증가원인(배키님 질문)

#11 신경자극의 전달을 위한 실무율법칙의 이해(교재 p 19) 7:35

#11 신경자극의 전달을 위한 실무율법칙의 이해(교재 p 19)

Q&A 121 카니보어와 간헐적 단식과 당뇨와의 관계(승카콜라님 질문) 7:49

Q&A 121 카니보어와 간헐적 단식과 당뇨와의 관계(승카콜라님 질문)

#10 신경세포의 활동전위가 만들어지는 방법(교재 pp15~16) 13:38

#10 신경세포의 활동전위가 만들어지는 방법(교재 pp15~16)

#9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 / 안정시 막전위의 형성(교재 pp14~15) 12:10

#9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 / 안정시 막전위의 형성(교재 pp14~15)

#8 신경세포의 해부학적 구조 / 유수와 무수신경의 구조 및 기능 차이(교재 pp12~14) 13:39

#8 신경세포의 해부학적 구조 / 유수와 무수신경의 구조 및 기능 차이(교재 pp12~14)

#7 제2장 신경계 / 신경계의 구분 / 중추와 말초신경계 / 구심성과 원심성의 의미 이해(교재 pp12~13) 9:42

#7 제2장 신경계 / 신경계의 구분 / 중추와 말초신경계 / 구심성과 원심성의 의미 이해(교재 pp12~13)

#6 운동스트레스로 손상된 세포의 복원  열충격단백질(교재 pp.6~7) 7:13

#6 운동스트레스로 손상된 세포의 복원 열충격단백질(교재 pp.6~7)

#5 긍정적피드백의 생물학적 조절시스템 3가지는 무엇? (교재 pp 4~5) 6:07

#5 긍정적피드백의 생물학적 조절시스템 3가지는 무엇? (교재 pp 4~5)

#4  신체조절체계(생물학적조절)로서 부적피드백에 대한 이해(교재 pp 4~5) 10:32

#4 신체조절체계(생물학적조절)로서 부적피드백에 대한 이해(교재 pp 4~5)

#3 생리학의 항상성과 운동생리학의 항정상태 차이점(교재 p4) 8:15

#3 생리학의 항상성과 운동생리학의 항정상태 차이점(교재 p4)

#2 제1장 인체의 환경조절 / 운동생리학의 개념정의와 세포의 구조 및 기능(교재 pp 2~4) 13:09

#2 제1장 인체의 환경조절 / 운동생리학의 개념정의와 세포의 구조 및 기능(교재 pp 2~4)

#1 파워운동생리학 무료 강의 콘텐츠 소개 / 파워 뉴 운동생리학 교재 활용 완결편 3:18

#1 파워운동생리학 무료 강의 콘텐츠 소개 / 파워 뉴 운동생리학 교재 활용 완결편

Q&A 120 탄수화물 섭취시 단백질과 지방을 같이 섭취하면 혈당지수가 낮아질까(LJ님 질문) 8:11

Q&A 120 탄수화물 섭취시 단백질과 지방을 같이 섭취하면 혈당지수가 낮아질까(LJ님 질문)

Q&A 119 기능관련체력중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(SKY님 질문) 9:01

Q&A 119 기능관련체력중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(SKY님 질문)

Q&A 118 운동시 산소와 이산화탄소당량 그리고 환기당량과의 관계(bhi5267님 질문_ 7:41

Q&A 118 운동시 산소와 이산화탄소당량 그리고 환기당량과의 관계(bhi5267님 질문_

Q&A 117 탄수화물 저장 능력과 탄수화물 과잉섭취(9939님 질문) 8:33

Q&A 117 탄수화물 저장 능력과 탄수화물 과잉섭취(9939님 질문)

#110 운동시 호흡의 조절 방법 8:20

#110 운동시 호흡의 조절 방법

Q&A 116 혈중젖산농도로 운동강도의 활용 가능한가요(노컨님 질문) 7:22

Q&A 116 혈중젖산농도로 운동강도의 활용 가능한가요(노컨님 질문)

#109 점진적운동중 일반인과 엘리트선수간의 호흡 가스의 변화 10:06

#109 점진적운동중 일반인과 엘리트선수간의 호흡 가스의 변화

#108 운동중(최대하운동과 장시간운동) 호흡변인과 산소 이산화탄소분압의 변화 10:26

#108 운동중(최대하운동과 장시간운동) 호흡변인과 산소 이산화탄소분압의 변화

#107 운동중 산 염기의 조절(폐환기) 9:26

#107 운동중 산 염기의 조절(폐환기)

#106 운동중 이산화탄소 운반 방법 3가지 7:13

#106 운동중 이산화탄소 운반 방법 3가지

Q&A 115 고강도운동과 EPOC와의 관계(Awy m님 질문) 11:20

Q&A 115 고강도운동과 EPOC와의 관계(Awy m님 질문)

#105 운동중 근육에서 산소운반은 왜 마이오글로빈일까? / 운동과 마이글로빈- 산소해리곡선 10:39

#105 운동중 근육에서 산소운반은 왜 마이오글로빈일까? / 운동과 마이글로빈- 산소해리곡선

#104 운동중 산소헤모글로빈 해리곡선에 영향을 주는 요인 3가지 11:50

#104 운동중 산소헤모글로빈 해리곡선에 영향을 주는 요인 3가지

Q&A 114 글리코겐로딩과 관련된 요인  / 피로감 / 유무산소성운동 / 저탄수화물식사(BalSi님질문) 8:30

Q&A 114 글리코겐로딩과 관련된 요인 / 피로감 / 유무산소성운동 / 저탄수화물식사(BalSi님질문)

#103 운동중 혈액의 산소운반방법(포화와 해리, 산소헤모글로빈과 환원헤모글로빈) 9:11

#103 운동중 혈액의 산소운반방법(포화와 해리, 산소헤모글로빈과 환원헤모글로빈)

#102 운동강도에 따른 가스교환의 효율 환기와 폐혈류(관류)의 이상 비율 7:23

#102 운동강도에 따른 가스교환의 효율 환기와 폐혈류(관류)의 이상 비율

Q&A 113 근손실의 기전이 궁금해요(Stone joe님 질문) 11:27

Q&A 113 근손실의 기전이 궁금해요(Stone joe님 질문)

#101 운동중 폐로 가는 혈류의 변화 6:32

#101 운동중 폐로 가는 혈류의 변화

Q&A 112 과당이 나쁜 이유(콩남이네님 질문) 8:36

Q&A 112 과당이 나쁜 이유(콩남이네님 질문)

Q&A 111 비아그라의 유산소운동효과(최겨울님 질문) 7:49

Q&A 111 비아그라의 유산소운동효과(최겨울님 질문)

#100 가스의 확산과 분압의 결정방법 6:32

#100 가스의 확산과 분압의 결정방법

Q&A 110 웨이트와 필라테스운동의 병행(HeeHeeHee님 질문) 6:30

Q&A 110 웨이트와 필라테스운동의 병행(HeeHeeHee님 질문)

Q&A 109 체력증강과 뱃살빼는 운동 방법 / 운동처방추천 (HeeHeeHee님 질문) 6:54

Q&A 109 체력증강과 뱃살빼는 운동 방법 / 운동처방추천 (HeeHeeHee님 질문)

#99 폐환기, 분당환기량, 기도저항, 폐질환 7:42

#99 폐환기, 분당환기량, 기도저항, 폐질환

Q&A 108 사과식초와 칼슘(이이님 질문) 7:03

Q&A 108 사과식초와 칼슘(이이님 질문)

Q&A 107 척수반사는 왜 체성신경계를 통해 일어나는지 궁금(오종훈 님 질문) 8:55

Q&A 107 척수반사는 왜 체성신경계를 통해 일어나는지 궁금(오종훈 님 질문)

#98 호흡(흡기와 호기)의 원리와 관련 근육(횡격막) 9:32

#98 호흡(흡기와 호기)의 원리와 관련 근육(횡격막)

#97 호흡계의 구조 / 상기도와 하기도 / 전도영역과 호흡교환영역의 구조와 기능 7:48

#97 호흡계의 구조 / 상기도와 하기도 / 전도영역과 호흡교환영역의 구조와 기능

Q&A 106 음주후 혈중 젖산은 증가할까? (카카오허니님 질문) 6:35

Q&A 106 음주후 혈중 젖산은 증가할까? (카카오허니님 질문)

#96 호흡계의 4가지 기능 6:55

#96 호흡계의 4가지 기능

Q&A 105 ATP생산에너지 시스템이 사용하는 영양소가 궁금(정00님 질문) 4:57

Q&A 105 ATP생산에너지 시스템이 사용하는 영양소가 궁금(정00님 질문)

#95 운동중 호흡계 변인 / 호흡/ 환기 / 확산 7:06

#95 운동중 호흡계 변인 / 호흡/ 환기 / 확산

Q&A 104 고혈압환자에게 운동은 괜찮은 것일까? (정00님 질문) 8:08

Q&A 104 고혈압환자에게 운동은 괜찮은 것일까? (정00님 질문)

Q&A 103 스포츠심장은 괜찮은 것일까(강대원님 질문) 8:01

Q&A 103 스포츠심장은 괜찮은 것일까(강대원님 질문)

#94 운동자세에 따른 심장의 1회박출량의 변화 8:05

#94 운동자세에 따른 심장의 1회박출량의 변화

Q&A 102 운동시 수소이온농도증가가 산소해리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유(뇽님 질문) 10:51

Q&A 102 운동시 수소이온농도증가가 산소해리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유(뇽님 질문)

Q&A 101 운동생리학 공부 방법(임형준 님 질문) 9:26

Q&A 101 운동생리학 공부 방법(임형준 님 질문)

Q&A 100 카페인 200mg의 각성유지시간은 얼마나 될까(김선미님 질문) 8:15

Q&A 100 카페인 200mg의 각성유지시간은 얼마나 될까(김선미님 질문)

Q&A 98 여유심박수와 여유산소섭취량의 개념(추님 질문) 8:04

Q&A 98 여유심박수와 여유산소섭취량의 개념(추님 질문)

Q&A 99 고강도유산소운동으로 젖산분비를 늦추는 기전(킹으르렁님 질문) 9:02

Q&A 99 고강도유산소운동으로 젖산분비를 늦추는 기전(킹으르렁님 질문)

#93 운동중 심박출량의 변화 그래프설명 5:38

#93 운동중 심박출량의 변화 그래프설명

Q&A 97 항정상태와 젖산역치 그리고 환기역치와의 관계(고량주님 질문) 5:24

Q&A 97 항정상태와 젖산역치 그리고 환기역치와의 관계(고량주님 질문)

#92 운동중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(압력, 저항:길이 점성 직경등) 9:38

#92 운동중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(압력, 저항:길이 점성 직경등)

#91 운동시 심박출량의 변화 총정리 8:18

#91 운동시 심박출량의 변화 총정리

#90 심박출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중 1회박출량에 미치는 요인, 평균대동맥압과 심근수축력 8:26

#90 심박출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중 1회박출량에 미치는 요인, 평균대동맥압과 심근수축력

Q&A 96 근섬유ST, FT는 유전일까 훈련의 효과일까?(Axin님 질문) 추가답변은 더보기 참고하세요 7:46

Q&A 96 근섬유ST, FT는 유전일까 훈련의 효과일까?(Axin님 질문) 추가답변은 더보기 참고하세요

#89 운동시 심박출량을 조절하는 요소중 1회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이완말기량(EDV)과 정맥혈회귀(venous return) 11:13

#89 운동시 심박출량을 조절하는 요소중 1회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이완말기량(EDV)과 정맥혈회귀(venous return)

#88 운동시 심박출량(cardiac output)을 조절하는 요소중 심박수(heart rate)에 영향을 주는 요인 9:18

#88 운동시 심박출량(cardiac output)을 조절하는 요소중 심박수(heart rate)에 영향을 주는 요인

Q&A 95 당지수(GI)가 높은 스포츠음료를 운동전후 섭취해도 좋을까요?(대나무숲 무게드는 쿠자님 질문) 8:40

Q&A 95 당지수(GI)가 높은 스포츠음료를 운동전후 섭취해도 좋을까요?(대나무숲 무게드는 쿠자님 질문)

Q&A 94 운동직후 생성된 젖산으로 포도당만들기 / 당신생(gluconeogenesis)(user님 질문) 3:58

Q&A 94 운동직후 생성된 젖산으로 포도당만들기 / 당신생(gluconeogenesis)(user님 질문)

#87 운동 시작하기전 운동중 심전도(ECG) 검사를 꼭 해야하는 이유? 6:45

#87 운동 시작하기전 운동중 심전도(ECG) 검사를 꼭 해야하는 이유?

Q&A 93 크레아틴(creatine)의 흡수와 저장 그리고 합성(킹으르렁님 질문) 11:36

Q&A 93 크레아틴(creatine)의 흡수와 저장 그리고 합성(킹으르렁님 질문)

#86 심장의 전기적활동 동방결절(SA node)과 방실결절(AV node)의 역할 7:52

#86 심장의 전기적활동 동방결절(SA node)과 방실결절(AV node)의 역할

Q&A 92 수면과 식사 경기타이밍(다이나믹쓰위밍님 질문) 6:42

Q&A 92 수면과 식사 경기타이밍(다이나믹쓰위밍님 질문)

Q&A 91 신장성수축(eccentric contraction)과 힘, 스피드와의 관계(김영창님 질문) 6:44

Q&A 91 신장성수축(eccentric contraction)과 힘, 스피드와의 관계(김영창님 질문)

Q&A 90 상승다이어트를 초보자에게 권하는 이유(이건희님질문) 10:49

Q&A 90 상승다이어트를 초보자에게 권하는 이유(이건희님질문)

Q&A 89 신장성수축(eccentric contra tion)시 근수축 기전이 궁금해요(남이주현님 질문) 14:54

Q&A 89 신장성수축(eccentric contra tion)시 근수축 기전이 궁금해요(남이주현님 질문)

Q&A 88 근육내 탄수화물 저장량과 수분 저장량(김준호님 질문) 10:32

Q&A 88 근육내 탄수화물 저장량과 수분 저장량(김준호님 질문)

#85 동맥혈압(평균동맥혈압 등)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8:29

#85 동맥혈압(평균동맥혈압 등)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

Q&A 87 카페인(caffeine)의 섭취시기와 이뇨작용, 카페인은 도핑(doping)물질(제이주나님 질문) 7:14

Q&A 87 카페인(caffeine)의 섭취시기와 이뇨작용, 카페인은 도핑(doping)물질(제이주나님 질문)

Q&A 86 단백질 보충제 산패(rancidity), 단백질의 신장 여과율 등등(배달의민족님 질문) 9:58

Q&A 86 단백질 보충제 산패(rancidity), 단백질의 신장 여과율 등등(배달의민족님 질문)

Q&A 85 탄수화물의 하루 섭취량 기준(래서판다님 질문) 5:46

Q&A 85 탄수화물의 하루 섭취량 기준(래서판다님 질문)

#84 동맥혈압에 대한 이해, 평균동맥혈압(MAP)의 중요성, 맥압(pulse pressure) 등 12:35

#84 동맥혈압에 대한 이해, 평균동맥혈압(MAP)의 중요성, 맥압(pulse pressure) 등

Q&A 84 지나친 단백질 섭취후 전환된 탄수화물은 다시 지방으로 변할까(user님 질문) 10:03

Q&A 84 지나친 단백질 섭취후 전환된 탄수화물은 다시 지방으로 변할까(user님 질문)

Q&A 83 운동전 카페인 섭취 유무가 운동중 심박수에 영향을 미칠까? (이건희님  질문) 8:43

Q&A 83 운동전 카페인 섭취 유무가 운동중 심박수에 영향을 미칠까? (이건희님 질문)

Q&A 82 탄수화물대신 단백질을 섭취하면 살이 덜 찌지 않을까? (보충제밥말아먹기님 질문) 7:20

Q&A 82 탄수화물대신 단백질을 섭취하면 살이 덜 찌지 않을까? (보충제밥말아먹기님 질문)

Q&A 81 팔운동이 다리운동시 보다 혈압이 높게 나오는 이유? 무기질을 보충해야 하는 이유?(손영진님 질문) 11:40

Q&A 81 팔운동이 다리운동시 보다 혈압이 높게 나오는 이유? 무기질을 보충해야 하는 이유?(손영진님 질문)

#83 운동시 심장주기의 변화와 심방의 압력 그리고 판막과 심음 9:48

#83 운동시 심장주기의 변화와 심방의 압력 그리고 판막과 심음

Q&A 80 D아스파르틱산의 효능과 L아르기닌과의 관계(소상공인님 질문) 6:41

Q&A 80 D아스파르틱산의 효능과 L아르기닌과의 관계(소상공인님 질문)

Q&A 79 간헐적단식과 1일1식으로 근유지 및 근비대 가능한가(소상공인님 질문) 9:59

Q&A 79 간헐적단식과 1일1식으로 근유지 및 근비대 가능한가(소상공인님 질문)

Q&A 78 후천적 운동으로 인한 상지 골격의 변화가 가능한가(소상공인님 질문) 9:13

Q&A 78 후천적 운동으로 인한 상지 골격의 변화가 가능한가(소상공인님 질문)

#82 심장의 순환과 심근의 특징 5가지 10:10

#82 심장의 순환과 심근의 특징 5가지

Q&A 77 팀운동후 회복 식초섭취와 젖산(Mooner Bros님 질문) 10:40

Q&A 77 팀운동후 회복 식초섭취와 젖산(Mooner Bros님 질문)

Q&A 76 운동신경이 좋다라는 의미(손영진님 질문) 12:29

Q&A 76 운동신경이 좋다라는 의미(손영진님 질문)

#81 순환이란, 심장의 구조 7:22

#81 순환이란, 심장의 구조

Q&A 75 근섬유(ST, FT) 형태가 근 수축이완속도에 미치는 요인 2가지(멋진하루님요청) 8:48

Q&A 75 근섬유(ST, FT) 형태가 근 수축이완속도에 미치는 요인 2가지(멋진하루님요청)

#80 운동과 순환계, 순환계의 주요기능, 순환계의 중요성 8:57

#80 운동과 순환계, 순환계의 주요기능, 순환계의 중요성

動画

#19 운동단위의 사용과 크기에 따른 근육의 힘 발생 차이(교재 pp24~25) 9:48

#19 운동단위의 사용과 크기에 따른 근육의 힘 발생 차이(교재 pp24~25)

139 回視聴 - 5 日前

#18 체성운동신경과 운동단위의 개념과 기능(교재 p24) 9:57

#18 체성운동신경과 운동단위의 개념과 기능(교재 p24)

134 回視聴 - 12 日前

#17 근육수용기 반사궁의 기능과 교차신전반사의 기전(교재 pp 22~23) 8:26

#17 근육수용기 반사궁의 기능과 교차신전반사의 기전(교재 pp 22~23)

79 回視聴 - 2 週間前

#16 근육수용기 중 화학수용기의 기능과 역할(교재 P22) 8:02

#16 근육수용기 중 화학수용기의 기능과 역할(교재 P22)

162 回視聴 - 3 週間前

#15 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 구조와 기능(교재PP 21~22) 10:42

#15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구조와 기능(교재PP 21~22)

246 回視聴 - 1 か月前

#14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 구조와 기능(교재 PP 19~21) 12:55

#14 감각정보와 반사 근육의 고유수용기 근방추의 구조와 기능(교재 PP 19~21)

282 回視聴 - 1 か月前

Q&A 124 최대심박수의 90% 운동강도와 최대심박수와의 관계(가은님 질문) 8:37

Q&A 124 최대심박수의 90% 운동강도와 최대심박수와의 관계(가은님 질문)

262 回視聴 - 1 か月前

#13 신경전달물질(아세틸콜린)의 발견과 신경세포의 자극 신호 축삭전달(교재 PP.16~18) 15:36

#13 신경전달물질(아세틸콜린)의 발견과 신경세포의 자극 신호 축삭전달(교재 PP.16~18)

387 回視聴 - 1 か月前

Q&A 123 혈당스파이크를 잡는 식후 운동시간과 운동전 식사관리가 궁금(배키님 질문) 6:52

Q&A 123 혈당스파이크를 잡는 식후 운동시간과 운동전 식사관리가 궁금(배키님 질문)

157 回視聴 - 1 か月前

#12 신경세포에서 신경자극이 전달되는 방법(교재 P.16) 8:04

#12 신경세포에서 신경자극이 전달되는 방법(교재 P.16)

349 回視聴 - 1 か月前

Q&A 122 혈당스파이크를 올리지 않는 과일섭취 / 간수치 증가원인(배키님 질문) 8:20

Q&A 122 혈당스파이크를 올리지 않는 과일섭취 / 간수치 증가원인(배키님 질문)

110 回視聴 - 1 か月前

#11 신경자극의 전달을 위한 실무율법칙의 이해(교재 p 19) 7:35

#11 신경자극의 전달을 위한 실무율법칙의 이해(교재 p 19)

182 回視聴 - 2 か月前